전시마케팅 부스 설계방법
부스 예시
전시회를 준비하면서 고민이 많이 되는 부분은 바로 전시회 동선입니다. 처음엔 어떤 동선이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가늠이 잘 안 됐었습니다. 하지만 부스 내부에 어떻게 상품을 배치에 따라 그 효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전시마케팅에서 펼쳐 보여줄 때(Show) 참관객이 느끼지 못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 바로 부스디자인입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부스 동선 종류와 그에 따른 효과가 무엇인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참가 목적에는 잠재고객 발굴, 제품 판매, 신제품 시연, 기존 고객 대상 마케팅 4가지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목적에 따라 부스 동선이 달라져야 하며 그에 따른 전시 효과와 몰입도가 달라질 것입니다. 전략적인 동선을 계획하여 전시효과를 최대치로 끌어올려보세요.
Step 1 참가 목적에 따른 부스 설계방법
전시 참가 목적에 따라 부스 설계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잠재고객 발굴을위해서는 부스 진출입이 용이하게 개방형으로 설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혹은 일대일 미팅으로 세일즈 미팅공간을 확보해야한다면 테이블을 구성하거나 테이블을 놓을 자리가 없다면 부스위치를 카페테리아 근처로 잡으면 좋습니다. 만약 제품 시연을 할 경우 부스를 극장식으로 설계하여 스탭과 관람객이 체류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바이어를 통로에 세워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바이어가 부스 안 쪽으로 들어와 제품을 보면서 상담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확보하는 동선이 바이어유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관람객 동선이 정해지고, 동선의 흐름에 따라 우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제품을 만나 볼 수 있기 때문에 전시 마케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사이 고객을 상담하고 궁금해 하는 것들을 풀어줄 만한 공간과 동선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 참가 목적이 잠재고객 발굴이라면 바이어가 부담스럽지 않게 전시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게 통로를 넓혀 출입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참가 목적이 세일즈라면 바이어와 미팅할 공간이 필요합니다. 서서 말하기보다 앉아서 제품의 단가와 납품가, 제품의 특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거나 카페테리아 혹은 휴게 공간 근처로 부스 위치를 잡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참가목적이 제품 시연일 경우, 고객들이 잘 볼 수 있는 무대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단상을 한 칸이라도 바이어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극장식의 의자나 긴 소파를 구성해 보세요. 시연회를 끝까지 들어준 바이어들을 집중시키기 위한 이벤트도 좋습니다. 네 번째 기존 고객 대상이 목적이라면 충성 고객으로 만들기 위해 작은 테이블을 놓고 편안하게 회사와 제품을 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좋겠습니다.
STEP 2 부스 위치 설정
전시를 신청할 때 가장 첫 번째로 고민 되는 것이 바로 부스 위치입니다. 부스 위치에 따라 통로 방향과 벽면의 위치도 달라짐으로 수많은 부스 사이에서 나의 회사 부스 위치는 어디로 정할지, 고민해봐야 하는 요소입니다. 먼저 부스 위치 선정 시 4가지로 나눠 생각해 보겠습니다. 1번 전시장 입구 또는 출구 근처 브랜드 홍보 및 인지도를 높이기 좋습니다. 출입구는 보통 조립부스가 아닌 독립 부스 형태로 최소 6개, 많이는 12개 부스까지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지만 한층 브랜딩을 레벨업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부스 디자인을 잘하고 참관객이 많이 몰려든다면 잡지나 기사에 무료로 올라가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동종 업계의 브랜드 인지도나 입지 구축 및 홍보하기에 좋습니다.
2번 휴게 공간 또는 카페테리아 근처 시연회를 하거나 고객 미팅하기 에 좋은 위치입니다. 부스가 좁아서 상담 테이블이 따로 없다면, 부스에서 제품을 보여주고 바로 옆 카페테리아나 휴게공간으로 이동해서 상담을 이어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3번 경쟁기업 근처 경쟁사와 비슷한 성능의 제품을 가지고 나왔다면 오히려 경쟁사보다 더 나은 제품이라는 것을 보여주기위해 경쟁기업 근처로 부스위치를 잡을 수 도있겠습니다. 4번은 3번과 달리 경쟁기업과 멀리 떨어진 곳으로 위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STEP 3 부스 동선 종류
부스 동선을 계획할 때는 제일 먼저 부스 위치에서 통로가 어디고 어디가 벽으로 막혀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그에 따라 제품을 바라보는 위치 동선을 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스 동선에는 총 4가지가 있다. 간선형 동선, 자유형 동선, 골방형 동선, 혼합형 동선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간선형 동선은 고객에게 브랜드 체험위주의 경험을 하게 하고 싶을 때, 구매에서 충성고객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기업의 역사/ 제품 개발 과정 등의 스토리 텔링형으로 배치할 때 척합니다. 두 번째 자유형 동선은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잠재 고객 확보를 위한 배치할 때, 제품 체험과 테스트를 목적으로 할 때, 어느 방향에서 출입해도 자유롭게 할 때 사용됩니다. 골방형 동선은 하나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여러 가지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때, 각각의 방 별로 섹션화 하여 주제 전달 할 때, 중간 테이블에 스탭 배치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할 때 적합합니다. 마지막 혼합형 동선일 때는 여러 가지 제품과 서비스가 혼재된 기업에 적용되는 동선입니다. 예를 들면, 삼성, LG 등 그룹 계열 전시일 때 많이 사용됩니다. 소비자 제품과 산업군 제품 별로 나눠서 동선을 배치할 경우도 혼합형 동선을 사용하면 좀 더 효과적인 전시가 될 것입니다.